전체 글
-
Roe의 욕구이론카테고리 없음 2021. 12. 21. 22:42
1) 이론의 배경 Roe의 이론적 관심은 성격이론과 직업분류라는 아주 이질적인 영역을 통합하는 데 있었다. 그는 직업의 전 영역을 신체적․심리적 변인이나 경험 등에서의 개인차와 관련지어 고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직업에 관한 그의 연구중 많은 것이 직업행동과 성격의 관계에 대한 것이었지만 직업행동에서 성격이 유일하고 가장 중요한 변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Roe의 초기 경험과 대부분의 초기 연구는 임상심리학에 기초하며 유명한 예술가들이나 연구자들에 관한 임상적인 연구의 한 연장으로서 직업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Roe는 Maslow의 욕구위계론을 바탕으로 해서 직업과 기본욕구만족의 관련성을 논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성격이론중 Maslow의 이론이 가장 유용한 접근법이..
-
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카테고리 없음 2021. 12. 21. 22:39
1) 이론의 배경 Parsons는 직업지도 운동의 선두주자로 알려져 있는데, 다른 인본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산업 독점가들에 의한 노동자 착취에 관심을 가졌다. 그래서 노동착취를 방지할 산업개혁과 노동자들이 능력과 흥미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 사회제도를 개혁할 것을 제안하였다. Parsons와 그의 동료들은 청소년들에게도 관심이 많았다. 이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워싱턴과 보스톤의 중도탈락 학생들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보스톤 사회복지관을 대신하는 ‘직업국’을 신설하기도 했다. 그는 모든 고등학교가 학생들의 취업에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고 믿고, 1908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보스톤의 교육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득하였다. Parsons는 개인분석, 직업분석, 과학적 조언을 통한 매칭을 ..
-
진로상담이론 탐색카테고리 없음 2021. 12. 21. 22:36
진로상담은 체계적이고 검증된 이론에 기초하여 전개되어야 하는데, 여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곧 진로이론이다. 대부분의 진로이론들은 ‘왜 사람들은 특정한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가?’에 대한 답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크게 진로발달의 ‘내용’을 강조하는 이론과 진로발달의 ‘과정’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진로에 관련된 여러 이론들을 분류하는 방식은 학자들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컨대 Herr와 Crammer(1996)는 특성-요인이론, 의사결정이론, 사회이론, 심리이론 및 발달이론 등으로 구분하는 반면, Gibson과 Mitchell(1990)은 과정이론, 발달이론, 성격이론, 기회이론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여러 분류체계에서 공통적으로..